본문 바로가기

치과기공

치과 보철물의 종류와 제작 과정

1. 치과 보철물의 개요: 기능과 필요성

치과 보철물(Dental Prosthesis)은 손상되거나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인공 구조물로, 환자의 저작 기능을 회복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치아 손실은 노화, 충치, 외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보철물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철물은 크게 **고정성 보철물(Fixed Prosthesis)**과 **가철성 보철물(Removable Prosthesis)**로 나뉜다. 고정성 보철물은 치아나 임플란트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며, 대표적으로 크라운과 브릿지가 있다. 반면, 가철성 보철물은 환자가 스스로 탈착할 수 있는 의치(덴처) 형태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보철물이 발전하면서, 기존보다 더욱 정밀하고 기능적인 보철물이 제작되고 있다. 환자의 구강 구조에 최적화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기공소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치과 보철물의 종류와 제작 과정

2. 고정성 보철물: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보철

고정성 보철물은 기존 치아나 임플란트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보철물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기능과 심미성을 제공한다.

  1. 크라운(Crown)
    크라운은 손상된 치아를 감싸 보호하는 보철물로, 충치 치료 후 치아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신경 치료 후 약해진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크라운은 금속, 지르코니아, 리튬 디실리케이트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며, 심미성과 내구성을 고려해 선택된다.
  2. 브릿지(Bridge)
    브릿지는 하나 이상의 치아가 결손된 경우, 인접한 치아를 이용해 결손 부위를 보완하는 보철물이다. 기존의 치아를 삭제한 후 크라운을 씌우고, 그 사이를 연결하여 빠진 치아를 대신하는 방식이다. 브릿지는 저작력 회복이 뛰어나지만, 건강한 치아를 삭제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3. 임플란트 보철(Implant Prosthesis)
    임플란트 보철물은 치아가 완전히 상실된 경우, 인공 치근(티타늄 임플란트)을 식립한 후 위에 보철물을 장착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브릿지와 달리 주변 치아를 삭제할 필요가 없으며, 자연 치아와 가장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경우 지르코니아, 세라믹 등 생체 친화적인 소재가 주로 사용된다.

고정성 보철물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심미성과 기능성이 뛰어나지만,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편이다.

 

3. 가철성 보철물: 부분 의치와 전체 의치

가철성 보철물은 환자가 직접 착탈할 수 있는 보철물로, 치아가 일부 또는 완전히 상실된 경우 사용된다.

  1. 부분 의치(Partial Denture)
    부분 의치는 일부 치아가 남아 있는 경우, 인접 치아에 금속 클라스프(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다. 부분 의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지만, 금속 클라스프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어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2. 전체 의치(Complete Denture)
    전체 의치는 치아가 모두 상실된 환자를 위해 제작되는 보철물이다. 잇몸 위에 부착되는 형태이며, 구강 내에서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흡착력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3D 스캐닝과 디지털 디자인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맞춤형 의치가 제작되고 있다.

가철성 보철물은 비교적 저렴하고 수술이 필요 없지만, 착용감이 불편하고 장기 사용 시 잇몸 조직이 변형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치과 보철물의 제작 과정: 정밀한 기술과 디지털화

치과 보철물의 제작 과정은 정밀한 기술과 다단계 작업이 필요하며,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어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해졌다.

  1. 진단 및 구강 스캔
    먼저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진단하고,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3D 데이터를 수집한다. 기존에는 석고 인상 채득 방식이 사용되었지만, 디지털 스캐닝을 활용하면 더욱 정밀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다.
  2. 디지털 디자인 및 모델링
    구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CAD/CA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철물을 디자인한다. 이 과정에서 치아 형태, 교합 상태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모델링이 이루어진다.
  3. 보철물 가공 및 제작
    모델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CNC 밀링, 소결(Sintering) 등의 공정을 거쳐 보철물이 제작된다. 지르코니아, 리튬 디실리케이트, 티타늄 등 소재에 따라 가공 방식이 다르게 적용된다.
  4. 적합도 검사 및 최종 마무리
    제작된 보철물은 환자의 구강에 장착되기 전에 적합도 검사와 표면 처리를 거친다. 착색 및 광택 작업을 통해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과 질감을 구현하며, 필요 시 추가 수정이 이루어진다.

보철물 제작은 정밀한 기술과 최신 디지털 장비가 결합된 고도화된 과정으로, 환자의 구강 건강과 직결되므로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된다.